중소기업의 ESG 평가 및 활용 전략 소개 | 한국경제
ESGHUB
대표 김경수
그동안 중소기업에 근무하며 대기업의 공급망실사와 관련, 회사의 각 부문별 ESG 목표와 현재 상태를 진단해왔던 주식회사 이에스지허브의 김경수 대표이사가 현재 중소기업의 ESG 평가 및 활용 전략을 밝혔다.
최근 기업 경영의 화두는 ESG(E:Environment S:Social G:Governance) 경영이다. ESG는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 사회, 지배 구조의 첫 글자를 조합한 단어로 기업의 친환경 경영, 사회적 책임, 투명한 지배 구조 등을 의미한다.
이처럼 ESG 경영은 현재 기업들에 중요한 가치로 자리 잡고 있지만 중소기업 CEO들에게는 기업의 지속 가능 역량을 강화하고, 수출과 조달, 대기업 공급망 실사 대비, 금융기관 평가 대비 등을 어떻게 준비하고 대처해야 하는지 방향성을 잡아가기 어렵다.
김경수 대표이사는 회사가 ESG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공급망 CSR Audit, 신용평가기관의 ESG 평가 기준, 정부, 지자체의 ESG 가이드라인을 참조할 수 있으나 자체적으로 셀프 진단 기준을 마련하고 진단하여 수정 및 보완하는 과정은 매우 어렵다고 밝혔다.
중요한 것은 지표에 대한 진단 및 그에 맞는 개선 목표 수립이다. 지표는 규모와 업종에 관계없이 모든 회사에 적용 가능한 공통 지표, 업종 또는 회사의 상황에 맞게 적용되는 업종별 지표로 나눠진다. 이 지표들과 함께 중소기업이 거래하는 공급망 대기업에서 관리하는 지표에 대해 진단을 하고 그에 맞는 개선 목표를 수립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신용평가기관과 각 금융기관 정부부처 R&D 등 상황에 맞는 진단과 실행 지침 개선 지침을 가지고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중소기업의 고객 및 거래대기업, 수출기업의 경우 글로벌 기준에 따른 인증 및 회사의 지속 성장 보고서를 요구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RBA, SMETA 등 CRS(ESG) Audit을 요구하거나 ESG 정보 공개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각 지표에 맞는 자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만일 이에 대한 적정한 대비를 하지 못하거나, 위반 및 미준수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 2차 Audit을 받거나 심한 경우 거래에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다.